‘기’에 관하여 -인간은 과연 장풍을 쏠 수 있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00:26
본문
Download : ‘기’에 관하여 -인간은 과연 장풍을 쏠 수 있는가.hw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기’에 관하여 -인간은 과연 장풍을 쏠 수 있는가.hwp( 11 )






기
1.서론
2 본론
*기란 무엇인가?
-논어
-맹자
-노자
*기는 줄 수도 있고 받을 수도 있다?
*기공치료
*인간은 과연 장풍을 쏠 수 있는가?
3.conclusion(결론)
bibliography
2 본론
*기란 무엇인가?
먼저 기에 대한 입장은 여러 가지가 있다 기라는 것이 우리가 볼 수 없는 형이상학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어서 기에 대한 해석은 현대와 고대가 조금씩 다르고 또한 동양 사상 안에서도 각각의 집단마다 기에 대한 해석을 다르게 내리고 있다 굳이 기라는 것을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본다면 ‘인가의 기’, 자연의 기‘, 원리로서의 기’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즉 유가에서는 기를 생명의 에너지라기 보다는 인간의 생리의 일반을 담당하는 그런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맹자
논어에 비하여 기라는 것 이 사상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입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맹자의 사상 중 유명한 ‘호연지기(浩然之氣)’라는 것을 통해서 맹자가 기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 수 있는데, 공손추 상편에 나오는 대화를 살펴보면 맹자는 ‘사람의 의지는 기의 주재자이다. 기는 온 몸에 가득차 있다 …(skip)
‘기’에 관하여 -인간은 과연 장풍을 쏠 수 있는가?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기 , ‘기’에 관하여 -인간은 과연 장풍을 쏠 수 있는가?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다. 그럼 먼저 전통적 동양 사상 안에서 기를 바라보는 입장이 어떠한 지부터 살펴보자.
-논어
논어에 보면 사기(辭氣), 성기(聲氣), 병기(屛氣), 혈기(血氣) 등등의 용어가 나온다. 이런 용어들은 논어 즉 유가가 어떻게 기라는 것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