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23:41
본문
Download : 혼례.hwp
10은 만수로써 십자(열 아들)를 상징했다. 납징때 신랑이 꺼리는 예물은 신발이었다.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보내는 채례(채례)를 말한다. 신랑은 신부에게 재물을 보냈으며 신부는 신랑 측에 혼수를 보냈는데 대빙(대빙)이라고도 한다. 절이 끝나면 신부는 신랑의 옆자리에 앉되 신랑의 왼쪽 소매를 신부의 오른쪽 소매에 올려놓는다. 신랑이 먼저 내려 문밖에서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기를 기다렸다가 방으로 함께 든다...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보내는 채례(채례)를 말한다. 먼저 천지에 절을 올리고 부모님, 그리고 부부 순으로 절을 한다... , 혼례경영경제레포트 ,
다. 신랑이 먼저 신부의 부모에게 절을 올리고 다시 신부 측 조상의 사당을 배알하며 예물을 올린다. 납징은 신랑이 재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폭죽을 터뜨리거나 악대를 고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며 골목을 돌기도 하였다. 저녁이 되면 희연을 열어 손님 접대를 하고 합방을 한다. 신부가 신변상에 문제가 있을 경우 취소하고 다시 정할 수 있다
6. 친영
결혼 당일 신랑이 친히 중매인과 함께 예물을 가지고 신부집을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 신부가 신고 달아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신부는 납징의 예물 중 식품류는 돌려보냈다. 그런 다음 신부를 가마(화교나 관교. 집안의 경제력에 따라 한 대 이상)에 태우고 돌아간다. 신부의 혼수 중에는 이불도 있었는데 이불은 항상 10월에 만들었다. 합방 전 미혼 남녀들은 이 부부와 장난을 치며 놀기도 한다. (좌장: 남자가 여자를 거느린다) 그런 다음 신랑이 붉은 보자기로 싼 저울대로 신부 머리의 빨간 덮개를 들춰내고 깔고 앉는다. 신랑은 신부에게 재물을 보냈으며 신부는 신랑 측에 혼수를 보냈는데 대빙(대빙)이라고도 한다.
5. 청기
정혼 후 신랑 측이 길일을 택하여 혼례 일자를 정하고 신부 측에 알린다. 신랑은 신부에게 재물을 보냈으며 신부는 신랑 측에 혼수를 보냈는데 대빙(대빙)이라고도 한다.
다음날(3일째, 5일째) 신부집으로 가서 신부 측의…(To be continued )
Download : 혼례.hwp( 72 )
순서
혼례
,경영경제,레포트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보내는 채례(채례)를 말한다. (여자의 악기를 없앤다) 다음 만두(교자: 신부집에서 만들어 신랑집에서 익힌 것)와 장수면(신랑집에서 준비)을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