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부와 조모 지방쓰는 요령 및 방법과 적용대상 조사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9:59
본문
Download : 조부와 조모 지방쓰는 요령 및 방법과.hwp
설명
4. 사람이 생활하는 부분적인 공간
① 지방을 쓸 때 단설일 때는 돌아가신 분 한분만을 쓰고, 합설일 때는 돌아가신 내외분을 함께쓴다.
조부와 조모 지방쓰는 요령 및 방법과 적용대상 조사분석
1.조부 지방쓰는법
3 지방쓰기요령
2. 조모 지방쓰는법
Download : 조부와 조모 지방쓰는 요령 및 방법과.hwp( 59 )
③ 벼슬이 없었던 분의 경우에는 관작 대신에 처사 또는 학생이라고 쓰는데, 조선시대에는 이 말이 과거 시험을 준비 중이던 예비 관원의 신분을 가진사람들을 지칭하던 용어이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 부터 계속 쓴다.
1.조부 지방쓰는법 2. 조모 지방쓰는법 3 지방쓰기요령 4. 사람이 생활하는 부분적인 공간
④ 지방길이는 주척으로 일척이촌 폭이 삼촌인바 주척일척은 현재 미터법으로 약 20cm에 해당하니까 길이가 22cm에 넓이가 6cm정도이다,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순서
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을 상징한 것이다.
⑥ 한 장의 지방에 남, 여 조상 두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한다.
② 지방을 쓸 때는 관직이 있을 때는 그 품계와 관직을 쓰고, 관직이 없을 때는 남자는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 수사(秀士) 또는 수재라고 쓰며, 여자는 유인(孺人), 여사(女士)라 쓴다.
②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분은 지방이 필요 없다.
*지방서식*
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③ 흰 종이 위에 작고하신 분의 호칭과 관직을 먹으로 정성껏 써서 교의또는 제상 정후면에 붙인다.





조부와 조모 지방쓰는 요령 ,지방서식,지방쓰기
① 지방은 고인의 신위 표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