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許蘭雪軒)의 생애 정리(arrang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0:42
본문
Download :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생애 정리.hwp
허엽(1517 - 1580)은 호가 초당(草堂)으로 후에 경상감사를 역임하였고 동서분당 때 동인의 영수가 된 인물이다. 난설헌의 어머니는 허엽의 둘째 부인이었으며 허엽은 첫째 부인인 한씨부인과의 사이에 두 딸과 아들 성(筬)을 두었고 김씨부인과의 사이에는 봉([竹封]), 난설헌(許蘭雪軒), 허균(許筠)의 2남 1녀를 두었다. 난설헌이라는 호의 origin는 직접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고 다만 난초(蘭)의 이미지와 눈(雪)의 이미지에서 지어진 것이라 생각된다된다. 리포트 작성에 많은 활용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 ,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생애 정리감상서평레포트 ,
1. 개관 :
2. 허난설헌 생애의 사실적 요약
2. 허난설헌 생애의 서술적 요약
3. 허난설헌 친정 가계
(1) 양천 허씨 - 아버지 허엽과 자손을 중심으로 :
(2) 허난설헌 시댁
4. 허난설헌의 예술
○ 부부간 사이가 좋지 않았음 : 허균의 `학사초담` :
`오호라, 살아있을 때에는 부부의 사이가 좋지 않더니 죽어서도 받들어 모실
아들 하나도 없이 되었구나. 아름다운 구슬이 깨어졌으니 그 슬픔이 어찌 끝나리?`
○ 고부간 갈등 : 허균의 `성소부부고` 중의 `毁璧辭` :
`돌아가신 나의 누님은 어질고 문장이 있었으나 그 시어머니에게 인정을 받지 못했다.
%EC%9D%98%20%EC%83%9D%EC%95%A0%20%EC%A0%95%EB%A6%AC_hwp_01.gif)
%EC%9D%98%20%EC%83%9D%EC%95%A0%20%EC%A0%95%EB%A6%AC_hwp_02.gif)
%EC%9D%98%20%EC%83%9D%EC%95%A0%20%EC%A0%95%EB%A6%AC_hwp_03.gif)
%EC%9D%98%20%EC%83%9D%EC%95%A0%20%EC%A0%95%EB%A6%AC_hwp_04.gif)
%EC%9D%98%20%EC%83%9D%EC%95%A0%20%EC%A0%95%EB%A6%AC_hwp_05.gif)
%EC%9D%98%20%EC%83%9D%EC%95%A0%20%EC%A0%95%EB%A6%AC_hwp_06.gif)
,감상서평,레포트
허난설헌의 생애에 대해서 문헌조사를 통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경번이라는 자는 난설헌 자신이 china(중국) 에서 옛부터 전해져온 여선(女仙)인 번부인(樊夫人)을 사모하여 지은 것이라고 한다.
또 두 아이를 잃었으므로 한을 품고 돌아가셨다. 허엽은 난설…(생략(省略))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생애 정리(arrangement)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허난설헌의 생애에 관련되어 문헌조사를 통해서 정리(arrangement)한 자료(data)입니다.
난설헌의 본관은 양천(陽川) 허씨, 이름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이다.
난설헌은 강릉(옛 지명은 임영(臨瀛)) 초당리에서 아버지 허엽(許曄)과 어머니 김씨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난설헌이 살았던 시기는 임진왜란(1592년, 선조 25년 발발)이 일어나기 직전의 조선 중기로서 당시 조선의 정세는, 정치적으론 연산군 이후 명종에 이르는 4대 사화(四大士禍)와 훈구(勳舊)·사림(士林)세력간의 정쟁으로 인한 중앙정계의 혼란, 선조 즉위 이후 사림세력의 득세로 인하여 격화된 붕당정치 등으로 정치의 정상적인 운영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2. 허난설헌 생애의 서술적 요약
허난설헌(許蘭雪軒)은 1563년(명종 18년)에 태어나서 1589년(선조 22년) 3월 19일, 27세로 사망했다. 리포트 작성에 많은 활용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
설명
Download :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생애 정리.hwp( 68 )
다. 초희라는 이름은 장성해서까지 사용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