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기체 ‘라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03:24
본문
Download : 죽음의 기체 ‘라돈’.hwp
죽음의 기체 ‘라돈’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environment보건학
다.환경보건학 , 죽음의 기체 ‘라돈’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라돈의 歷史(역사)와 침입경로 및 절감 방법에 대해서 說明(설명) 했습니다.
- 새집 증후군
(1) 라돈이란?
(2) 라돈의 역사(歷史)
(3) 라돈의 붕괴도식
(4) 라돈의 침입경로
(5) 수중라돈
(6) 관련기사
(7) 라돈 절감 방법
(8) 참고 문헌
(1) 라돈이란?
폐암의 한 Cause 으로 지목받는 라돈은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이나 토양 중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238-U)과 토륨(232-Th) 그리고 235-U이 몇 단계의 방사성붕괴를 거듭한 후 생성되는 무색, 무미, 무취하며 방사능을 띤 불활성 기체이다. 원자번호가 86인 라돈(222-Rn)은 불활성 기체 이므로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전하를 띠지 않으며 3.8일의 반감기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옥외환경에서 보다 환기의 정도가 낮은 주택 및 건물 내에서 라돈의 축적으로 인해 라돈의 농도가 대개 수십 배, 많게는 수백 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 특히, 환기상태가 저조한 지하공간에서 라돈의 농도는 더욱 높으며 이로 인해 지하철 역사(歷史)에서의 라돈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2) 라돈의 역사(歷史)
라돈의 유해성에 관한 지식은 광산의 지하 갱도내에서 높은 준위의 라돈농도에 피폭한 광…(생략(省略))
Download : 죽음의 기체 ‘라돈’.hwp( 39 )
설명






라돈의 역사와 침입경로 및 절감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238-U의 연쇄붕괴에 의한 라돈의 생성과정을 아래에 도식으로 나타내었다. 건물의 지반에서 방출된 라돈가스가 건물바닥의 갈라진 틈새 등을 통해 실내로 들어옴으로써 라돈이나 라돈의 붕괴로 생성되는 라돈자손의 실내 공기 중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라돈은 지반 뿐아니라 건축자재, 상수, 취사용 천연가스 등을 통해서도 실내로 들어오지만 약 85%이상은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것이다.
지각에서 생성된 라돈은 암석이나 토양의 틈새에 존재하다가 확산 또는 압력구배에 의하여 지표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까닭에 생할환경 어디에나 존재하며 그 방출량은 암석 및 토양 중에 포함된 우라늄의 양에 따라 지역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일명 토론이라고 부르는 220-Rn와 악티논이라고 부르는 219-Rn은 라돈(222-Rn)과 동위원소 관계에 있으나 반감기가 짧아(220-Rn: 55.5초, 219-Rn: 4초) 지각에서 생성된 토론과 악티논이 지표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양은 222-Rn에 비해 매우 적으므로 통상 라돈이라 말할 때 222-Rn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